한국GPT협회
home
기관 소개
home

회의록 작성 - 클로바노트 + 챗GPT

태그
생성 일시
2025/02/03 02:23

회의록도 AI가 써주면 참 좋겠습니다

모든 직군에서 공통적으로 하는 일이 아마도 회의록 작성이겠죠.
동료들 모여서 여러가지 아이디어도 내고 토론도 하고 참 유익한 시간을 보낸 것 같은데, 돌아서면 왜 기억나는게 없을까요?
회의 때 무슨 얘기 나왔냐고 누가 물어보면, 음… 저… 그… 뭐… 생각이 안 날까요. 분명 회의는 알찼는데 말이죠 ㅎㅎ
회의 또는 미팅은 동료들하고만 하는 건 아니겠죠.
회사에서 동료들과 회의를 할 수도 있지만, 개인사업 하면서 거래처 사람 만나서 회의를 할 수도 있고, 친구와 중요한 의논을 할 수도 있죠.
주고 받은 대화, 중요한 결론, 기억해야 할 것들을 잘 기록하는 것은 항상 중요한 일이고 어려운 일 같습니다.
챗GPT와 네이버 클로바노트를 활용하여 회의록을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우선 클로바노트에 가입을 하세요. 무료입니다.

무려 네이버가 만들어준 국민 앱입니다.
평점 무려 4.9를 받고 있네요.
다운로드 숫자는 아직 100만+ 입니다만, 현재의 성능과 발전속도를 봤을 때 500만까지는 금방 갈 것 같습니다.
플레이스토어 후기 몇 개 살펴봅니다.
강연듣거나 할때 필기하면서 들으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아주 가끔 잘못 인식하는 것만 빼면 정확도가 상당히 높아서 좋았습니다.
좀 멀리서 들리는 소리도 잘 잡아냅니다.
몇년간 정말 잘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진짜 업데이트를 해서인지 디자인부터 개선된 모든 것들과 업테이트가 너무 마음에 듭니다.
영상이나 통화/회의/강의녹음 등 필요한 부분을 찾기까지 속절없이 기다리는 것을 싫어해서 자주 애용하고 있습니다. 키워드로 녹음내용을 검색할 수 있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사실 아주 오래 된 서비스입니다.
2020년 11월에 ‘AI 음성기록’ 서비스로 출발했고, 무려 3년이나 시범출시 기간을 거쳤다고 합니다. 그런데 왜 이제 와서 소개하냐구요?
이제 와서 성능이 좋아졌거든요.
생성형AI의 역사를 70년이라고 많이들 말하죠. 그런데 왜 이제 와서 이렇게 온 세상이 난리인겁니까?
지난 69년간 꾸준히 발전했지만 여전히 사람보다 일을 못하니까 우리가 안 썼던거구요, 작년부터는 사람보다 일을 잘 하는 것 같아서 이제 본격적으로 쓰는거죠.
그 AI의 힘을 빌려서 이제 클로바노트가 3년만에 성능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우리가 편하게 쓸 날이 온 것 같아요.
녹음 시간이 300분 넘어가면 유료가 필요하지만, 그 안에서는 무료입니다.
기존 녹음 파일을 지우면 총량 300분 안에서 다시 새녹음을 할 수 있습니다.
사실상 무제한 무료인 느낌?

회의를 시작하면 클로바노트로 녹음을 합니다

물론 상대방의 사전 동의를 구해야겠죠.
10분이든 1시간이든 회의를 하고 나서 종료를 누르면 몇초~몇분동안 데이터 처리를 합니다.
그리고 나서 접속해보면 이렇게 녹음된 내용의 text가 보입니다.
녹음된 모든 단어를 하나하나 전부 다 글자로 바꿔놓은 full text가 있습니다.
STT(Speech to Text) 엔진이 일을 열심히 했습니다.
"단점 : 오타가 아주 많다"
오타가 정말 많습니다.
스마트폰 마이크가 그렇게 고사양도 아니고, 폰은 하나인데 사람은 멀찌감치 떨어져서 여러명이 말을 하니, 게다가 우리가 회의 때 엄청 또박또박 말하는 것도 아니다보니 오타는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STT 기술은 오래된 기술이지만 이렇게 오타가 많기 때문에 우리는 지금까지 "안 썼죠"
하지만 AI 기술이 더해지면서 이 부분이 아주 제대로 극복이 됩니다.

클로바노트에는 네이버가 제공하는 'AI 요약'이 있습니다

왼쪽에 full text가 있고, 오른쪽에는 AI 요약이 있습니다.
이 '요약' 부분은 full text를 약 3분~7분 정도로 덩어리로 묶어줍니다. 대화 주제의 일관성에 따라서 나눠줍니다. 아주 편합니다.
장점 : 생성형AI가 요약하고 글 쓰면서 오타는 거의 사라짐(일부 용어는 오타 날 수 있음)
단점 : 회의록을 3분 단위로 짤라 쓰는 경우는 거의 없죠
누가 렇게 회의록을 시간 순서대로 쓰겠습니까 그죠?
이대로는 실무에 못 씁니다.
(업무용 회의록에는 못 써도, 친구와의 중요 대화 요약 리마인드로는 이것도 충분하죠 ^^)
하지만 이 AI 요약에는 오타가 꽤 줄어들어듭니다. 아무래도 AI가 글을 처리해서 다시 요약문을 생성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오타를 생성하지는 않고 멀쩡한 글을 생성해 줬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이름, 명칭 같은 고유값들에 대해서는 오타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여기까지만 하더라도 회의록으로 쓰기에는 한참 부족한데요,

자~ 여기서 ChatGPT를 등판시킵니다. 나와라 에이스~

네이버 클로바노트의 'AI 요약'부분을 통째로 다 복사해서
챗GPT에게 주면서 전체 희의록 작성을 시킵니다.
사실 STT 엔진은 클로바노트 말고도 많습니다.
다른 앱에서도 full text를 얻어올 수는 있죠.
어쩌면 클로바노트보다 음성 인식률이 더 좋을 수도 있구요.
하지만 그렇게 full text를 얻었다 해도 회의가 너무 길었다면 이 full text를 챗GPT가 받아주지 못합니다.
입력 프롬프트에 토큰 제한이 있잖아요?
토큰 한도가 훨씬 높은 GPT-4를 쓰더라도 수십분 이상의 회의 내용 full text를 처리하기는 어렵습니다.
회의록 full text를 chunking 해서 순차 입력하는 방법도 있기는 하죠. API 호출해서 gpt-4-0125-preview 이런 모델 불러오면 12만8천 토큰도 입력은 됩니다만,
회의록 쓰자고 이렇게까지… 흠흠 이건 불편합니다.
하지만 클로바노트는 ‘AI 요약’을 해준다는거죠.
1시간이 넘는 회의를 하고, full text가 엄청나게 길지만, (이대로 복붙해서 GPT-4 줘도 감당 못함)
클로바노트는 처리를 해줍니다. 감사합니다. 이 기능이 무료라니요 !!
장점 : 이제는 오타가 거의 없습니다. 본문 내용 중에 중요 내용을 추려서 요약을 잘 해 줍니다.
단점 : 회의 때 나온 이야기를 단순 나열만 해줍니다.
이 단점은 왜 발생했을까요?
바로 저의 질문 프롬프트가 성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전체 회의 내용에 대한 네이버의 AI요약을 context로 입력해주기는 했지만,
지시문 자체가 너무 간단했죠.
제가 처음에 넣었던 챗GPT 프롬프트입니다.
다음은 나와 내 친구가, 아이스크림 할인점 대표님을 인터뷰한 내용이야. 핵심내용 요약해줘. ------------------------------ (이후에 네이버 ‘AI요약’ 내용 전문 복붙)
그러니 딱 제가 시킨대로만 핵심 내용을 list 형태로 요약해준거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합니다(질문을 잘하자는 것의 있어빌리티 표현)

자~ 여기서부터는 GPT를 다루는 우리의 노하우가 필요합니다.
어떤 형식의 회의록이 필요하신가요?
어떤 구조로 정리를 해야 하나요?
어떤 팩트 정리, 어떤 시사점 도출, 어떤 아이디어를 포함해야 하나요?
그런 것들을 우리가 정의해서 GPT에게 알려줘야 합니다.
프롬프트를 아래와 같이 고쳐보겠습니다.
성의 있게 다시 만든 프롬프트입니다.
다음은 나와 내 친구가, 아이스크림 할인점 대표님을 인터뷰한 내용이야.
내가 회의록을 작성할 수 있도록 아래 순서대로 step by step 도와줘.
1) 회의 전체 내용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안건 3개를 도출한다
2) 각 핵심안건별로 다뤄진 주요 내용을 3개씩 정한다
------------------------------
(이후에 네이버 AI요약 내용 전문)
짜잔~ 그럼 이렇게 챗GPT도 성의 있는 답변을 줍니다.
성의 라기보다는…
제가 구체적으로 핵심안건 3개 + 각 주요내용 3개씩이라고 구조와 수량을 지정을 했기 때문에 GPT는 그 지시를 따른 것 뿐이죠.
데이터 처리 분야에서 garbage in garbage out 이라는 말이 유명한데요, 챗GPT 활용도 딱 그 느낌입니다. Garbage prompt in, garbage response out.
핵심안건과 주요내용을 정했으니, 이제 상세 내용도 정리를 시켜봅니다.
역시나 형식, 구조, 담아야 할 내용을 잘 설명해줘야 합니다.
후속 질문 프롬프트입니다.
핵심 안건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정리해줘. 1) 핵심 안건의 관점에서, 각 핵심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2) 회의에서 언급되었던 사실, 정보, 경험들을 먼저 설명한다 3) 이를 바탕으로 핵심 안건을 달성하기 위한 실행방안을 추천한다
이제는 AI 요약 회의록은 안 넣어줘도 됩니다. GPT가 기억을 할테니까요.
자~ 어떤가요?
이 정도 회의록이면 업무에 쓸만한가요?